동결침전제제(Cryoprecipitates, Cryo, 크라이오)의 적응증, 수혈방법, 수혈속도, 주의사항
동결침전제제는 신선동결혈장 1단위를 4˚C에서 녹여서 제조한 혈액성분제제입니다. 녹일 때 생기는 흰색 침전물(cold precipitated protein)에는 많은 양의 factor VIII:C, von Willebrand factor, fibrinogen, factor XIII 및 fibronectin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이것을 분리하여 -18˚C 이하에서 동결시켜 보존한 것이 동결침전제제입니다. 보존기간은 1년입니다. 동결침전제제에 함유되어 있는 침전 단백의 양은 제조 방법에 따라 다소 차이가 나는데 factor VIII:C은 약 80-120 단위, fibrinogen은 약 250 mg, von Willebrand factor는 처음 혈장에 함유된 양의 40-70%, 그리고 Factor XIII은..
2023. 3. 4.
신선동결혈장제제(Fresh Frozen Plasma,FFP) 목적, 적응증, 주의사항
신선동결혈장제제(Fresh Frozen Plasma) 신선동결혈장제제 수혈의 목적 응고인자의 보충을 위한 치료적 투여를 주된 목적으로 한다. 침습적 처치 시를 제외하고는 신선동결혈장의 예방적 투여는 의미가 없다 신선동결혈장제제 수혈의 원칙 ① 신선동결혈장제제의 수혈을 결정하기 전에 수혈의 대안들을 먼저 검토한다. ② 투여 전 프로트롬빈시간(prothrombin time, PT), 활성화부분트롬보플라스틴시간(activated partial thromboplastin time, aPTT)을 측정하고, 대량출혈 시에는 섬유소원(fibrinogen) 수치도 측정한다. 혈전탄성검사(예, TEG, ROTEM 등)도 응고인자 결핍이나 섬유소원 감소 진단에 이용된다. 특히 심장수술의 경우 수술 중 혈전탄성검사(TEG,..
2023. 3.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