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7

동결침전제제(Cryoprecipitates, Cryo, 크라이오)의 적응증, 수혈방법, 수혈속도, 주의사항 동결침전제제는 신선동결혈장 1단위를 4˚C에서 녹여서 제조한 혈액성분제제입니다. 녹일 때 생기는 흰색 침전물(cold precipitated protein)에는 많은 양의 factor VIII:C, von Willebrand factor, fibrinogen, factor XIII 및 fibronectin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이것을 분리하여 -18˚C 이하에서 동결시켜 보존한 것이 동결침전제제입니다. 보존기간은 1년입니다. 동결침전제제에 함유되어 있는 침전 단백의 양은 제조 방법에 따라 다소 차이가 나는데 factor VIII:C은 약 80-120 단위, fibrinogen은 약 250 mg, von Willebrand factor는 처음 혈장에 함유된 양의 40-70%, 그리고 Factor XIII은.. 2023. 3. 4.
신선동결혈장제제(Fresh Frozen Plasma,FFP) 목적, 적응증, 주의사항 신선동결혈장제제(Fresh Frozen Plasma) 신선동결혈장제제 수혈의 목적 응고인자의 보충을 위한 치료적 투여를 주된 목적으로 한다. 침습적 처치 시를 제외하고는 신선동결혈장의 예방적 투여는 의미가 없다 신선동결혈장제제 수혈의 원칙 ① 신선동결혈장제제의 수혈을 결정하기 전에 수혈의 대안들을 먼저 검토한다. ② 투여 전 프로트롬빈시간(prothrombin time, PT), 활성화부분트롬보플라스틴시간(activated partial thromboplastin time, aPTT)을 측정하고, 대량출혈 시에는 섬유소원(fibrinogen) 수치도 측정한다. 혈전탄성검사(예, TEG, ROTEM 등)도 응고인자 결핍이나 섬유소원 감소 진단에 이용된다. 특히 심장수술의 경우 수술 중 혈전탄성검사(TEG,.. 2023. 3. 3.
수혈 일반적 지침 (혈액주입 속도 및 시간, infusion pump, 수혈 시 수액 투여) 1. 수혈용 주사침 적혈구 수혈을 위한 주사침은 일반적인 경우 18~20게이지의 것이 바람직하며, 소아의 경우 22~24 게이지 주사침도 사용할 수 있다 2. 혈액주입 속도 및 시간(Transfusion flow rate) : 표 참조 ① 혈액제제는 세균증식의 위험 때문에 오랜 시간 실온에 방치해서는 안 되며 아무리 늦어도 4시간 이내에 수혈을 마치는 것이 원칙이다. 각 제제별 적절한 속도와 시간에 따라 수혈한다. ② 농축적혈구는 첫 15분간 50 mL/hr (체중 50 kg 미만의 소아는 최대 50 mL까지는 1 mL/kg/hr)로 투여하고 환자에게 수혈관련 부작용 증상이 나타나지 않으면 나머지 단위내 용적을 2시간 내에 투여한다. 혈소판과 혈장제제는 첫 15분 간 50 mL/hr(소아는 1 mL/kg.. 2023. 3. 2.
CT를 찍었는데 왜 또 MRI를 찍는거에요? 병원에 치료를 받으시러 오는 분들이 난감해 하는 순간이 있죠. CT를 찍었는데 왜 또 MRI를 찍으라고 하지? CT 찍었는데 돈 벌려고 MRI 찍으라는 거 아닌가? MRI가 CT보다 몇 배는 비싼 가격 때문에 이런 생각이 드실 수 있죠 신규간호사 같은 경우도 환자가 이런 질문을 하면 난감하실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이 질문의 대한 대답은 CT랑 MRI는 쉽게 관찰 할 수 있는 부위가 달라서 입니다. 1. CT는 어떤 경우에 유용한가? CT는 X-ray를 사용하여 검사 하는 것이 때문에 X-ray과 통과되고 X-ray가 통과되지 않는 곳의 영상화된 밝기가 다릅니다. 밀도가 높은 낮은 차이를 이용하여 뼈나 미세한 골절, 결석,석회화된 병변, 골병변과 폐 병변이나 장 천공의 판별에 도움을 줍니다. 주위 조직.. 2023. 3. 1.
백혈구제거 혈액제제(Leukocyte-Reduced Bloods), 방사선조사 혈액제제(Irradiated Bloods) 수혈 목차 1. 백혈구제거 혈액제제(Leukocyte-Reduced Bloods) 2. 방사선조사 혈액제제(Irradiated Bloods) 1. 백혈구제거 혈액제제(Leukocyte-Reduced Bloods) 백혈구제거란 혈액성분에서 백혈구를 제거하는 과정이다. 이는 여과법(filtration)에 의해 주로 이루어진다. 공급혈액원에서 백혈구를 미리 제거 후 의료기관에 공급된 제제(저장전백혈구제거, prestorage leukocyte reduction)와 환자의 침상 옆 혹은 의료기관 혈액은행에서 백혈구제거를 시행한 제제(저장후백혈구제거, post-storage leukocyte reduction)가 있는데, 저장 중 백혈구에 의해 생성되는 IL-1, IL-8, TNFa 등의 사이토카인이 발열성수혈반응의 .. 2023. 2. 28.
고혈압약 완벽 정리 1.안지오텐신 전환효소억제제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Inhibitor, ACEI 약제 특징 • 혈관 수축을 유도하는 angiotensin II의 생성 차단 • 나트륨 저류를 유도하는 aldosterone의 생성 방지 부작용 • 신부전: 양측 신동맥 협착증 환자에서 사용 시 • 심한 저혈압: 중증 심부전증, 이뇨제 사용이나 체액 감소 증상이 있는 환자에서 사용 초기 • 고칼륨혈증 • 기침(전체 환자의10%내외의 발생률),혈관 부종,두드러기 • 임산부 사용 불가 국내 시판 약제 • ramipril • perindopril • zofenopril• enalapril • lisinopril • cilazapril • captopril • imidapril • fosinopril •.. 2023. 2. 26.
왜 당뇨약을(메트포민 성분) CT 검사 전 , 수술 전에 중단 하는 거에요? 병원에 입원한 당뇨 환자라던지, 병원에 갓 들어온 신규간호사라던지 이와 같은 분들은 왜 당뇨약 중 메트포민(Metformin) 약을 CT 검사 전, 수술 전에 중단하는 이유에 대해서 궁금해 할 것입니다. 결론은 CT전 수술 전 두 가지 모두 유산혈증 (젖산증,lactic acidosis) 발생 가능성 때문입니다. 1. 유산혈증 (젖산증, lactic acidosis)은 무엇인가? 유산혈증은 체내에 젖산이 축적될 때 발생하는 상태입니다. 젖산은 충분한 산소가 없을 때 에너지를 얻기 위해 포도당이 분해되는 부산물입니다. 일반적으로 간은 젖산을 처리하여 다시 포도당으로 전환하지만, 젖산이 과도하면 몸에서 이를 충분히 빨리 제거할 수 없어 젖산이 축적됩니다. 젖산이 체내에 축적되면 혈액 pH 수준이 감소하여 산.. 2023. 2. 2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