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임상지식

백혈구제거 혈액제제(Leukocyte-Reduced Bloods), 방사선조사 혈액제제(Irradiated Bloods) 수혈

by 벤자민버튼 2023. 2. 28.
반응형

목차

1. 백혈구제거 혈액제제(Leukocyte-Reduced Bloods)

2. 방사선조사 혈액제제(Irradiated Bloods) 

 

 

1. 백혈구제거 혈액제제(Leukocyte-Reduced Bloods)

백혈구제거란 혈액성분에서 백혈구를 제거하는 과정이다. 

이는 여과법(filtration)에 의해 주로 이루어진다. 

공급혈액원에서 백혈구를 미리 제거 후 의료기관에 공급된 제제(저장전백혈구제거, prestorage
leukocyte reduction)와 

환자의 침상 옆 혹은 의료기관 혈액은행에서 백혈구제거를 시행한 제제(저장후백혈구제거, post-storage leukocyte reduction)가 있는데, 

저장 중 백혈구에 의해 생성되는 IL-1, IL-8, TNFa 등의 사이토카인이 발열성수혈반응의 원인임이 알려지면서

엄격한 제제관리가 가능한 저장전백혈구제거제제가 널리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1.1 백혈구제거 혈액제제 수혈의 목적

① 수혈로 인한 발열성 비용혈성 수혈반응의 예방
② HLA 동종면역의 예방
③ 백혈구 내에 존재하는 거대세포바이러스(cytomegalovirus, CMV), 사람T세포백혈병바이러스
(human T-cell leukemia virus-1, HTLV-1) 감염 전파의 예방

 

1.2 백혈구제거 혈액제제 수혈의 원칙

백혈구여과제거 적혈구제제, 백혈구여과제거 성분채혈혈소판은 단위당 잔여백혈구수가 5×106
개 미만, 백혈구여과제거 농축혈소판은 단위당 잔여백혈구수 8.3×105개 미만이어야 한다.

 

 

 

 

1.3 백혈구제거 혈액제제 수혈 시 주의사항

① 최근 백혈구제거 기술의 발달로 혈액제제에서 백혈구의 대부분이 제거되기는 하지만 생존하는 백혈구가 소수라도 남아있기 때문에 

수혈관련 이식편대숙주반응(transfusion associated graft versus host disease, TA-GVHD)을 완벽하게 예방할 수는 없다. 

백혈구제거 혈액제제를 수혈 받았음에도 수혈관련 이식편대숙주반응이 발생한 보고사례가 있으므로 

수혈관련 이식편대숙주반응 위험성이 큰 환자는 방사선 조사한 혈액제제를 수혈해야 한다.

 

② 병실에서 필터(bedside filter) 등을 이용하여 백혈구를 제거하는 경우 

일부 환자에서, 특히 안지오텐신전환효소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억제제를 복용하는 환자의 경우

예측하기 어려운 심한 저혈압을 유발할 수 있다.

*ACE 억제제 

 

1.4 백혈구제거 혈액제제 부적절한 사용의 예

백혈구제제 수혈 시 백혈구 제거용 필터를 사용하는 경우

 

 

1.5 백혈구제거 혈액제제 적정 투여량 및 투여 방법

① 적혈구제제의 경우 원래 제제 기준의 약 85~95%의 회수율을 보이므로 투여 시 이를 고려하
면 된다. 필터를 사용한 경우도 95% 이상의 회수율을 보이므로 원래 적혈구 제제 투여량의 약 
105%를 기준으로 투여한다.
② 백혈구제거성분채혈혈소판의 적정 투여량은 기존의 혈소판 적량투여량과 같은 기준으로 계산할 
수 있다.

 

1.6 백혈구제거 혈액제제 구체적 수혈지침


① 발열성수혈반응예방: 발열성비용혈성수혈반응의 예방
② 혈소판수혈불응증 예방을 위해 혈소판 동종면역(항-HLA 항체) 발생을 최대한 억제해
야 하는 환자: 반복적인 수혈이 필요한 각종 백혈병, 재생불량성빈혈, 골수형성이상증후군
(myelodysplastic syndrome), 골수부전증, 골수이식대상자, 동종 또는 자가 조혈모세포이식예
정환자, 기타 혈액종양환자
③ 백혈구를 통한 감염예방[거대세포바이러스(CMV), 사람T세포백혈병바이러스(HTLV) 등 백혈구
를 통해 전파되는 감염증]: 선천성 혹은 후천성 면역결핍자, 백혈병, 재생불량성빈혈, 항암요법 
등으로 인한 면역저하자, 동종 또는 자가 조혈모세포이식환자 등 
④ 신생아(4주)로서 적혈구제제 및 혈소판제제 수혈이 필요한 경우
⑤ 심혈관 수술환자

 

 

 

2. 방사선조사 혈액제제(Irradiated Bloods)

 

2.1 방사선조사 혈액제제 수혈의 목적

 

① 적혈구제제, 백혈구제제, 혈소판 제제의 수혈이 필요한 환자에서 수혈관련 이식편대숙주병
(transfusion associated graft versus host disease, TA-GVHD)을 예방
② 이식편대숙주병 발생 위험이 있으므로 혈연자간(부모/자녀, 조부모/손자, 형제자매, 사촌)의 수
혈은 권장되지 않으나, 불가피한 경우 방사선조사를 통해 이식편대숙주병을 예방

 

 

2.2 방사선조사 혈액제제 수혈의 원칙

 

① 전혈, 적혈구제제(백혈구여과제거 적혈구제제포함), 혈소판제제(백혈구여과제거 혈소판제제 포
함), 백혈구제제에 대하여 감마선 조사 또는 X-선 조사를 시행할 수 있다.
② 방사선 조사의 표준 조사량은 용기(container)의 중심부위는 25~50 Gy (2500~5000 cGy), 나
머지 부위는 최소 15 Gy 이상이 되도록 한다.
③ 방사선조사를 실시한 적혈구제제의 유효기간은 방사선조사 후 28일 또는 원래의 보존기간까지
의 잔여일수 중 짧은 일수까지로 한다. 예로 CPDA-1액이 포함된 혈액백에 채혈한 적혈구제제
의 유효잔여일수가 원래의 보존기간인 35일이라면 방사선 조사를 실시한 경우에는 조사 후 28
일 이내에 사용되어야 한다. 하지만, 고칼륨혈증(hyperkalemia)의 위험이 있는 상황 혹은 질환
이 있으면 24시간 이내에 사용되어야 한다.
④ 백혈구제제는 수집되는 즉시 조사하여 바로 수혈하는 것이 좋고 혈소판제제는 본래의 유효기간 
내에 조사하여 유효기간 내에 사용하면 된다.
⑤ 자궁 내 수혈과 신생아교환수혈은 채집된 지 5일 이내의 혈액에 대하여 방사선조사 후 24시간 
이내에 사용해야 한다.

 

 

2.3 방사선조사 혈액제제 수혈 시 주의사항

방사선 조사한 적혈구농축액은 방사선을 조사하지 않은 혈액보다 상청액의 칼륨이 상승하므로, 

이들 적혈구를 급속수혈 시, 대량수혈 시, 신부전 환자나 미숙아 수혈 시, 체외막산소요법
(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 ECMO) priming 시 

칼륨증가로 심정지 및 사망에 이를 수 있으므로 

방사선조사 후 24시간 이내에 수혈하거나 세척한 후 수혈하여야 한다

 

2.4 방사선조사 혈액제제 부적절한 사용의 예


동결된 혈장제제의 사용과 수혈관련 이식편대숙주반응(transfusion associated graft versus 
host disease, TA-GVHD)은 관련성이 보고되어 있지 않으므로 동결된 혈장제제(신선동결혈장, 동결
혈장, 동결침전제제)에는 방사선조사를 하지 않는다.

 

2.5 방사선조사 혈액제제 적정 투여량 및 투여 방법 

기본적인 적혈구제제, 혈소판 제제의 투여량 공식에 따른다.

 

 

2.6 방사선조사 혈액제제 구체적 수혈지침

1. 면역저하환자에서의 방사선조사 혈액제제 수혈지침
① 선천성 혹은 후천성 면역결핍/부전환자
② 조혈모세포이식이나 장기이식을 받은 환자
③ 조혈모세포이식을 위해 채집 중인 환자(채집 7일전부터 채집하는 기간 동안)
④ 백혈병, 악성림프종: 특히 T세포 억제 치료인 purine nucleoside analogs (예, fludarabine, 
bendamustine azathioprine, clofarabine), alemtuzumab를 받는 환자 
⑤ 골수형성이상증후군, 중증재생불량성 빈혈, 기타 조혈계 종양 환자: 특히 anti-thymocyte 
globulin (ATG)로 면역억제 치료를 받는 환자

⑥ 항암화학요법, 방사선요법, 면역억제제 치료를 받고 있는 고형암 환자
⑦ 태아, 미숙아, 저체중아 수혈
⑧ 신생아 교환수혈


2. 정상면역능환자에서의 방사선조사 혈액제제 수혈지침
① 동종조혈모세포 공여예정자(골수공여예정자 포함)
② 혈연자(부모/자녀, 조부모/손자, 형제자매, 사촌)가 헌혈한 혈액제제를 수혈 받을 때
③ 헌혈자 HLA가 수혈자와 일방향성(one-way)의 적합성을 보일 때
④ 백혈구제제 수혈 시
⑤ 채혈 후 3일 이내의 신선한 혈액을 수혈 시
⑥ 심혈관계 수술
⑦ HLA 유사 혈소판 수혈

 

 

 

 

출처: 대한수혈학회 수혈가이드라인

 
반응형

댓글